REBUILD 4 느13:4-9 신앙의 요요현상을 이기는 법


REBUILD 4 느13:4-9 신앙의 요요현상을 이기는 법 How to overcome the yo-yo effect of faith
신앙생활을 하다보면 요요현상처럼 다시 옛날의 죄악된 생활로 돌아갈 때가 있습니다. 느헤미야 공동체가 그랬습니다. 그들은 개혁한지 1년만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갔습니다. 어떻게 된 것일까요? 그 3가지 원인을 통해서 우리 신앙 요요현상을 이기는 성령의 결단이 있길 바랍니다.   .

첫째 신앙의 요요를 이기려면 “비워 두지 말라”  Don’t leave it blank
느헤미야는 이스라엘의 성벽이 재건된 뒤에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영적개혁까지 잘 마치고 1년 정도 페르시아를 방문합니다. 안타까운 것은, 이때 이스라엘은 다시 옛날로 돌아갔습니다.(6절)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귀신들린 집에 대한 비유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영적 개혁”은 멈추거나 비워두면 이전보다 더 안좋아 질 수 있습니다.(마12:43) 그래서 비젼을 안정되게 이루는 리더십은 3단계를 이뤄야 합니다. 첫째 Vision입니다. 먼저 꿈은 분명히 그립니다 둘째, Revision입니다. 꿈을 구체화 시킵니다. 셋째 Super vision입니다. 비전을 이룬 후, 지속적으로 관리 감독(Supervising,)을 해줍니다. 이같은 리더십이 될때 공동체는 다시 돌아가지 않습니다.   

둘째 신앙의 요요를 이기려면 “도비야를 멀리하라”  Stay away from Tobiah
느헤미야는 두번째 이유로 대제사장 엘리아십이 도비야와 가까이 지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느13:4) 도비야는 산발랏과 함께 이스라엘의 성벽이 재건되는 것을 방해했던 인물로 이스라엘이 경계해야 할 대상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왜 영적 지도자인 엘리아십이 그와 가까워졌을까요? 3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는 죄는 항상 지도자를 유혹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둘, 죄는 끈질기고, 셋째 죄는 가까이하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그는 시간이 흘러 산발랏과 사돈지간이 됬습니다.(28절) 가까워진 것입니다. “사막의 낙타” 비유처럼 아주 작은 죄라도 허용할때, 죄는 반드시 우리안에서 왕노릇 할 뿐만 아니라 우리를 사망으로 끌고 갑니다.(롬5:21) 지금 내 주변에 도비야가 있다면 반드시 거리를 두시기 바랍니다. 

셋째 신앙의 요요를 이기려면 “사명을 놓지 말라”  Don’t give up on your mission
이스라엘이 다시 죄악으로 돌아간 3번째 이유는 사명을 버렸기 때문입니다.(10절) 물론 이것은 그들이 받을 몫을 못받았기 때문에 세상으로 돌아간 것입니다. 마치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었을때 제자들도 원래의 삶으로 돌아간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느헤미야는 그들을 꾸짖습니다.(11절) 왜냐면, 사명자에게는 상황보다 사명이 먼저이기 때문입니다. 사명이란 “목숨을 담보로 할 만큼 중요한 일”이기에 항상 희생과 피흘림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사명을 또 다른 말로 “희생으로 빛나는 꽃”이라고 부릅니다. 한 세기를 바꾼 위인들을 보면 모두 “자기희생”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도, 그리고 우리가 걷는 신앙의 길도 결국 “자기희생”으로 이루어지는 길입니다.(마16:24) 사순절에 걷는 십자가의 길이 바로 그것입니다. 오늘도 주어진 사명의 길을 걸어가는 재건자들이 되길 바랍니다.     
4/6
이번 목장 나눔 기도제목
1) 요즘 내가 비워두는 것이 있다면? 내 안에 도비야는 무엇일까요?  요즘 내가 다시 붙들어야 할 사명은?   
예) 요즘 가정안에 너무 죄안된 삶의 습관이 있습니다. 부부관계가 좋지 않은데 그냥 내버려 두고 있습니다. 거짓말을 쉽게 생각합니다. 험담하거나 미움을 풀지 않고 있습니다. 말씀과 삶이 전혀 다를때가 많은 것 같습니다.

2) 
이번 한주 감사해야 것이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나눠 봅시다
예) 좋은 날씨, 평안한 일상, 잘 풀린 것도, 안 풀린 것도 감사. 어려움과 사고 중에도 지켜주심을 감사합니다.

3) 목장 기도제목:
목원들의 기도/ 목장의 선교지/ 부활절 VIP를 찾게 하소서/ 고난주간 특새를 통해 십자가를 깨닫게 하소서

Recent Posts

Leave a Comment